테슬라 모델3 차량 히터, 에어콘을 사용하면 배터리가 빠르게 닳까봐 신경쓰이시죠 ? 그래서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 제가 생각해보았습니다.
일단 저는 전문가는 아니고 방구석 좆문가이고 제 나름 해석해본 결과 입니다. 맞는지 안맞는지는 차를 세워두시고 해당 설정들로 세팅 후 공조기만 틀고 배터리 소모 속도를 재보시면 되겠습니다.
일단은 테슬라 차량의 공조기 오토 기능은 그리 똑똑하지 못하다 생각들었습니다. 무조건 에어콘 컴프레서가 켜지고, 풍량은 3이상에 얼굴쪽 바람구멍도 무조건 열리게 되어서 매우 춥거나 지나치게 덥더라구요. 오토기능으로 히터를 켜면 배터리가 지나치게 빨리 닳은 다는 느낌이 드는데 제 생각에는 에어콘컴프레서가 켜지면서 바람이 에어콘증발기를 거치면서 냉각이 되고 그 냉각된 공기를 다시 히터로 가열하여 주는 방식이라 그런것 같습니다. 이럴경우 창문에 습기가 낄일은 없어서 좋지만, 히터에 에너지가 더 소모되겟지요..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공조기를 수동으로 사용하는게 필수라 생각됩니다.
그럼 어떻게 설정하면 되느냐
먼저 겨울에 히터를 쓰는 상황을 예시로 들면
내기!!로 설정하시고 발쪽의 바람구멍만 엽니다. 히터는 밑으로 쏘고 찬바람일땐 얼굴로 쏘는게 운전자가 가장 쾌적하다고 느끼는 차량공조의 기본이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온도는 22도~24도로 설정하시고 바람세기를 1~2정도만해도 외기온도 10도정도에서 춥다는 느낌을 안받으실겁니다. 추우시면 온도랑 바람세기를 조금씩 올려보시면 됩니다. 배터리를 아끼고 싶으시면 온도랑 바람세기를 조금씩 내려보시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정말 배터리가 적게 닳으냐 ? 실험을 해보시면 됩니다. 차를 세워두시고 22도 오토로 해서 배터리 떨어지는 속도를 보시고, 위와같이 22도 수동으로 설정해서 배터리 떨어지는 속도를 보시면 확실히 차이가 나는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요즘같은날씨에 22도 수동 히터도 춥다는 느낌 못 받았습니다.
그럼 두번째로는 여름철일때 에어콘은 어떻게 하는게 효율적일까요 ? 여기서도 효율을 추구한다면 내기!!로 설정하십니다. 그리고 당연히 ac를 눌러서 에어콘 컴프레서를 켜셔야하고. 온도는 최하인 Low로 설정합니다. 춥다고 온도를 올리시면 이때부터 히터가 작동될 겁니다. 여름철에 히터를 켜고 배터리를 소모하는 바보같은 행동을 하는것이지요.. 춥다면 풍량을 낮추거나 바람의 방향을 바꾸셔야합니다.
여기서 궁금증이 생길수도 있는데, 최하온도인 Low로 온도를 설정하면 에어콘 컴프레서가 지나치게 과부하상태로 도는게 아닐까 생각이 드실텐데. 제가 알기로는 에어콘 컴프레서는 냉방부하에 따라 알아서 제어가 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즉 실내온도가 뜨거우면 알아서 빠르게 돌고 실내온도가 선선하면 냉방부하가 적어져서 알아서 느리게 제어됩니다.
에어콘의 경우 냉매압축기를 통해 구동되는데 이건 히터보다 효율이 매우 좋습니다. 아직 여름이 아니라 제대로 실험은 못해보앗지만, 외기 10도에서 위처럼 에어콘 틀고 1시간동안 정차상태로 있어보앗는데 배터리가 1%도 안 닳더라구요..
아무튼 제 말들을 토대로 효율적 공조기 사용하셔서 전비를 조금이라도 더 높이고 다니셨으면 좋겠습니다.
다른의견이 있으시거나 제 글들 중 틀린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공유해주셨으면 합니다~~
'Tesl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모델3 앱 사용기 / 구매전 유부남 필독 (0) | 2020.03.10 |
---|---|
테슬라 모델3 / 센트리모드 / 대시캠모드 / 세팅 / 저장장치 선택 (0) | 2020.03.09 |
테슬라 12V 배터리 이슈가 무엇인가?? (배터리 방전) (0) | 2020.03.08 |
테슬라 앱 연결 안됨 / 차량 연결 실패 (0) | 2020.03.07 |
테슬라 모델3 구매 방법 (6) / 차량 인도 (1) | 2020.03.02 |
댓글